데를 상하게 된다. 폐가 사
리고 기침을 하면 가리
리, 양고기, 살구, 부추와 야기
사구 부추와 약간 매운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매운 음식은 가장 사랑함을 순환시켜 노폐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너무 1 먹으면 도리어 병이 심해지는 부작용이 있다. 이외에도 인삼, 오미 고 더욱더 도라지, 귤껍질, 호도, 살구씨, 복숭아, 우유, 달걀의 흰자위
기침을 자주 하면서 누런 천연 가래를 토하면 찬바람
등이 좋다.
내면서 조급하게 행동하면 가슴에 열이 쌓여 폐를 상하게 하면 항상 피로하며 식후에 노곤함을 느낀다. 그리고 기에 피가 섞여 나온다.
가래 색깔을 보면 병의 원인을 알 수 있다. 기침을 자주 취기 기를 하면 몸에 열이 있는 것이다. 만약 허연 가래를 토하며 에 폐가 상한 것이다. 시커먼 가래를 토하면 피로가 쌓여 폐와 시 한 것이다.
폐가 병들면 춥다가 열이 오르고 숨을 쉴 때 헐떡거린다. 또한 어깨와 가슴을 들먹거리게 된다. 만약 폐에 열이 쌓이면 얼굴이 하얀 | 게 되면서 머리털이 마르고 잘 부서진다. 만약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폐가 병든 것이다.
다양한 폐병을 3가지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폐가 약한 것은 폐허(肺虛)라고 한다. 코로 숨쉬기 곤란하고 숨결이 약하며, 기침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감기와 기관지염이 폐허에 속한다. 폐에 노폐물이 쌓였거나 열이 몰린 것은 폐실(肺實)이다. 기가 위로 치밀어 숨이 차고 헐떡거리며 등이 아픈 초기 감기와 독감 등이 폐실에 속한다. 폐결핵과 폐암은 폐와 함께 심장과 신장이 병든 잡증(雜證)에 속한다.
폐병은 여름에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만약 가을을 넘겨 겨울이 되면 덜했다가 저절로 낫기도 한다. 그러므로 폐병을 치료하거나 보할 때 겨울이 가장 좋다. 또한 심했다고 해 질 무렵부터 차차 괜찮아져서 밤중이 되면 안정되는 속성이 있다. 만약 몹시 야위어 큰 뼈 드러나고, 숨을 잘 쉬지 못하면 폐가 크게 병든 것이다. 피부가 마르고 털이 부서지며 손발톱이 말라비틀어지면 폐기가 끊어진 것으로 얼마 우 죽게 된다.
폐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초가 있다. 폐가 약할 때는 오미 자를 달여 마시는 것이 좋다. 기가 위로 치밀어 올라 숨쉬기 곤란할 때는 뽕나무 껍질을 달여 마시면 도움이 된다. 폐가 병들면 복숭아, 파, 보
| 폐를 튼튼하게 하는 도인 법을 행하면 좋다. 먼저 똑바로 앉은 후 양손
을 땅에 대고 등을 구부리면서 몸을 앞으로 숙인다. 최대한 숙인 후 똑바로 앉는 것을 5번 한다. 그런 후에 주먹을 쥐고 손을 뒤로 돌려, 오른쪽과 왼쪽 등을 각각 3~5번씩 때려준다. 이렇게 하면 폐에 생긴 각종 질병을 없앨 수 있다. 눈을 감고 있으면서 입속에 침이 가득 고이면 삼킨 후 윗니 아랫니를 3번 지그시 깨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폐는 우주의 기를 호흡하는 장부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온도의 공기를 깊이 마시고 내쉬는 것이 폐의 건강에 아주 좋다. 잘 낫지 않는 감기기 침에는 꿀, 배, 은행을 이용한다. 배의 꼭지를 도려내고 씨를 파낸 후에 은행과 꿀을 넣고 꼭지를 막는다. 이때 꿀이 없으면 흑설탕을 대신 넣고, 꼭지를 실로 묶으면 된다. 이것을 냄비에 넣고 물을 부은 후 한 시간쯤 달여 꼭 짜서 즙을 마신다. 어린이 감기에는 머리와 꼬리를 뗀 콩나물에 꿀을 부었을 때 우러나는 물을 복용하는 것이 좋다.
신(腎) 섹스와 허리의 건강은 신장이 주관한다.
'신(腎)'은 허리 양쪽에 있는 콩팥이다. 온몸의 수분을 조절하고 폐와 더불어 호흡을 유지한다. 또한 선천지정(先天之精)을 보관하고 있으므로 어린이의 성장과 발육에 관여하고, 뼈와 골수의 생성을 주관한다. 신장이 상했을 때 고혈압이 생기는 이유는 신장이 피를 걸러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설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주 보고 있다. 겉은 기름이며, 척추 근육에 매 높은 각각 다르다고 본다.
근 생명을 유지하는 관
이다. 얼굴이 검으면서 살결이 고운 사람은 신장이 작은 사람으로 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신장은 붉은 강낭콩(紅豆 모양으로 서로 마주 보고 이 어리로 덮여 자주색을 띠지만 속은 허연 회색이며, 최초 · 있다. 한의학에서는 2개의 신장이 수행하는 역할이 각각 다른 | 오른쪽 신장은 원기(元氣)를 주관한다. 그래 보기로 생명을 문의 역할을 한다는 뜻의 명문(命門)이라 한다. 남자는 이곳에 보관하고, 여자는 이곳이 자궁과 연결되어 있어 자식을 낳게 된 모로 섹스와 출산은 오른쪽 신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왼쪽 신장은 몸 안의 수분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명칭 또한 신자(1 臟)이다. 여자는 오른쪽 신장이 중심이고, 남자는 왼쪽 신장이 중심이다. 그러므로 여자는 오른쪽 허리가 자주 아프게 되고, 남자는 왼쪽 허리를 많이 다친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보면 한의학에서 말하는 신장이란 신장(kidney)과 부신(suprarenal gland), 뼈와 골수, 뇌, 남자의 전립선과 성기, 여자의 자궁과 난소를 포괄하는 개념임을 알 수 있다. | 신장은 오행 중 수(水)에 속하므로 수분, 귀, 청각, 머리카락, 가래침 (타액), 공포를 주관한다. 상징 색깔은 검은색이고, 소리는 우성(初)이며, 신음이 신장의 소리이다. 신장은 짠맛(誠)을 좋아하고, 썩은 냄새에 민감하며, 머리카락으로 신장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귀가 잘 들리지 않을 때는 신장을 치료하는 약을 쓰게 된다. 또한 콩, 가축으로는 돼지, 채소로는 미역에 해당한다. | 사람의 외형을 보면 신장의 크기와 위치를 알 수 있다. 얼굴이 검으면서 피부가 거친 사람은 신장이 크다. 그러므로 충격 때문에 허리를 쉽게 상할 수 있다. 귀가 다른 사람보다 높은 곳에 있으면 신장이 위에 있다. 이런 사람은 허리 근육이 잘 뭉쳐 구부리지 못하는 병을 쉽게 앓는다. 1 뒤쪽이 움푹 들어간 사람은 신장이 아래에 있다. 그러므로 허리와 어이 이가 자주 아프고 아랫배가 당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귀가 얇고 단단해 지 못하면 신장이 약한 사람으로 당뇨병에 잘 걸린다. 한쪽 귀가 유난히 올라간 사람은 한쪽 신장이 아래로 처진 사람으로 만성적인 허리 통증이
무거운 것을 힘들게 들거나 성관계를 자주 하면 신장이 상한다. 또한 억지로 참으면서 목욕을 하거나, 습기가 많은 땅에 오랫동안 앉아 있어도 신장이 상한다. 신장이 병들면 우선 허리가 아프고 무름이 쑤시며 얼굴이 검어진다. 이것은 신장이 허리와 무릎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또한 난 뒤 뒤가 무직해지고 발과 무릎이 차면서 시리게 된다. 자주 어지럽고 귀가 울리며 기억력이 약해지는 것은 신장이 약해졌다는 증거이다. | 신장은 어린이의 성장과 발육과 깊은 관련이 있다. 매우 놀라거나 경기(驚氣)를 자주 하면 신장을 상하여 뼈의 성장과 뇌의 발육에 영향을 끼친다. 심해지면 집중력 저하와 자폐증, 틱(tic : 눈이나 얼굴을 씰룩거리는 것)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질병 치료에는 신장을 보하거나 안정시키는 처방을 쓴다.
| 신장에 생기는 병을 3가지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신장이 약한 것은 신허(腎虛)이다. 쉽게 피로해지고 가슴과 배가 아프면서 모든 일에 불쾌감과 짜증이 늘면 신장이 약해졌다는 신호이다. 정력 저하와 발기부전이 신하에 속한다. - 신장에 열이 있거나 노폐물이 쌓인 것은 신실(腎實)이다. 배와 무릎 주변이 부으면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면 신장에 열이 있다. 그리고 몸이 무겁고 땀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게 되면 신장에 노폐물이 쌓인 것이다. 소변 이상과 몸이 붓는 부종은 신장과 다른 장부가 함께 병들어 생기므로 잡증(雜證)이라 한다. | 신장병은 여름에 심해진다. 가을, 겨울이 되면 덜해지고 봄이 되면 저 절로 낫기도 한다. 그러므로 신장을 치료하거나 보하려면 봄이 가장 좋다. 신장병은 하루에 4번(오전과 오후 7시부터 9시 사이와 1시부터 3시 사이) 심하게 아픈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질 무렵 덜하다가 밤이 되면 안
극성팬 뿌리가 드러나고, 지야 뼈가 마르고 머리카락에 이상한 말을 하면 신장의 )
다(隆) 시력과 소화를 담당하는 쓸개
정죄는 속성이 있다. 만약 얼굴이 검으면서 이빨 뿌리가 이끼며, 배가 불러오면 매우 좋지 못하다. 만약 뼈가 마 윤기가 없어지며,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이상한 말을 하가 끊어진 것으로 결국 죽게 된다.
신장의 병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약초가 있다. 신장이 아니면 고기, 복숭아, 파, 콩, 돼지고기, 밤, 미역을 적절히 먹으면 좋다. 그리 불에 태웠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는 것은 신장에 좋지 않다. 또한 말린 뜨거운 옷을 바로 입는 것도 신장에 해롭다. 이외에도 볶은 신 금, 숙지황, 두충, 산수유, 산딸기 열매, 녹용, 개 자지, 밤, 검은콩 등이 신장에 좋다. | 신장을 튼튼하게 하는 도인 법은 다음과 같다. 똑바로 앉아 두 손이 귀에 닿도록 위로 올린 후, 똑바로 내려서 팔꿈치가 옆구리에 닿도록 하는 동작을 3~5번 반복한다. 그다음에는 두 손을 가슴에 모았다가 양옆의 노 활짝 펴면서 동시에 몸에서 힘을 빼는 동작을 3~5번 반복한다. 그다음에는 발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오른쪽과 왼쪽 발을 각각 10번씩 한다. | 이런 방법 외에도 허리에 있는 신수(腎兪)라는 경혈을 자극하는 방법이 있다. 신수는 허리뼈 2번과 3번 사이에서 양쪽으로 4.5cm 떨어진 곳에 있는 경혈이다. 잠잘 때 발을 편안하게 하고 옷은 헐렁하게 풀어놓은 뒤 호흡을 멈춘다. 항문을 최대한 오므린 채로 허리에 있는 신수 부위를 번 정도 문질러준다. 끝난 후에는 윗니와 아랫니를 지그시 몇 차례 깨고 후에 잠자리에 들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신장에 생긴 모든 병을 없앨 게 있다.
얼굴에 윤기가 흐르고 몸이 건강해 보이는 사람을 흔히 '신수가 좋다. 라고 한다. 이때 신수란 말은 신장의 기능을 의미한다. 즉 골격이 똑 바들 고 섹스 능력이 좋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암시한다. 노인들에게 신수가 좋다는 말을 하면 아직 늙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우 좋아한다.
| 담(膽)'은 간장 아래에 붙어 있는 쓸개이다. 덩굴에 매달려 있는 표주박처럼 생긴 담은, 겉이 검은색이며 속에 3조의 담즙을 보관하고 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담의 형태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담즙이 배설되는 구멍이 없다는 점이다. | 간의 정(精)이 담으로 내려오면 맑고 푸른색의 담즙이 된다. 그러나 담은 담즙을 저장만 할 뿐 배설하지는 않는다. 충분한 담즙이 보관된 사람은 눈이 밝아 사물을 똑똑하게 볼 수 있다. 늙어서 담즙이 부족해지면 눈이 어두워지고 침침하게 된다. 그러므로 담을 청정 지부(淸淨之 府: 사물을 깨끗하게 볼 수 있는 시각을 주관하는 곳)라고 한다. | 실제로 쓸개(gall bladder)는 간장 아래에 있으며 길이는 약 10cm, 폭 은 3cm이다. 과일 중 배의 모양을 한 주머니로 용량은 40mL 정도다. 쓸개는 간에서 내려온 담즙을 농축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담즙은 고기의 지방 성분과 달걀노른자, 늘 분해하는 소화효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담즙이 시각과 연관성이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담은 간장에 소속된 부(府)로 목(木)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군인으로 비유되는 간장과는 달리 중간에 위치하여 판단을 내리는 재판관의 임무를 수행한다. 또한 들고 무예를 닦는 사람의 비유돼 기도 한다. 그러므로 성품이 강직하고 매사 단정하며 사심 없이 일을 쳐 리 하는 사람은 담이 튼튼한 사람이다. 매사 결단력이 없고 위아래 눈치만 보면서 용기를 내지 못하는 사람은 담이 약한 사람이다. 왜냐하면 용기와 굳센 정신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 사람의 외형을 보면 담의 크기와 위치를 알 수 있다. 아래쪽 눈두덩이 늘어져 있으면 담이 비스듬히 달린 사람이다. 손톱과 발톱이 두꺼우며 노란색이 나는 사람은 담이 큰 사람이다. 그러나 손톱과 발톱이 얍
다. 손톱과 발톱이 단단한 이다는 증거로 성격이 급 사람은 담이 늘어져 있다.
소장(小腸) 영양분 흡수와 기 순환 기능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