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병이 생기는 이유는 대략 22가지로 요약된다. 이 중에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뜨겁거나 매운 음식을 많이 먹으면 신자. 쌓여서 눈이 충혈되거나 눈병이 생긴다. 밤에 어두운 불빛 알라 은 글씨로 써진 책을 읽거나, 멀리 있는 사물을 보려고 시선을 다니 중해도 눈병이 생긴다. 그리고 야외에서 찬바람을 맞거나, 온몸이 이스에 젖으면 눈병이 생기기 쉽다. 정신없이 바쁘거나, 성관계를 문란하게 하거나, 밤에 달과 별을 자주 보아도 눈병이 생길 수 있다. 눈병의 종류는 11가지로 나눌 수 있다. 눈이 아픈 안동(眼疼)은 부위에 따라 아픈 시간이 다르다. 눈초리와 흰자위가 아픈 것은 양(陽)에 속하므로 낮에 심하게 아프다. 그러나 눈동자와 검은자위는 음(陰)에 속하므로 저녁에 매우 아픈 특징이 있다. 이때에는 서로 반대되는 성질의 약을 쓰면 잘 낫는다.
바느질, 바둑, 장기, 독서를 열심히 한 후에 눈이 아픈 것은 간노(肝 勞)이다. 이 병은 약으로 치료할 수 없다. 다만 오랜 시간 눈을 감고 몸 | 을 조리해야 낫는다. 옛날 선비들은 책 보기가 싫을 때 이 병을 핑계로 책을 멀리하기도 했다.
시력이 약화되는 안혼(眼昏)은 기가 약해지거나 몸에 열이 쌓였기 때 문에 생긴다. 그러나 노인은 간장 기능이 떨어지고 담즙이 감소했기 때 문에 눈이 어두워진다. | 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것은 시일 물 위양(視一物爲兩)이다. 이 병은 눈과 두뇌를 연결하는 목계(自系)가 상해서 시선이 갈라졌기 때문 에 생긴다. 일명 복시(複視)라고 한다. | 사물을 볼 때 검은 꽃이 보이는 것은 안화(眼花)이다. 보통은 검은색이 지만, 담이 약할 때에는 푸른색 꽃이 보이고, 몸에 열인 있을 때에는 붉은색 꽃이 보이기도 한다. 이 병의 원인은 신장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기름덩이나 군살이 눈동자 속에 생겨나 눈알을 막는 것은 내장(內障)
이 병은 간장에 풍열(風熱)이 있거나, 신장이 약할 때 생기며 23가 이다. 백내장이라 부르는 병도 빙예(水營) 혹은 언월예(優月)라 그는 내장에 속한다. 눈 속의 압력이 올라가서 생기는 녹내장은 청풍 (靑風) 혹은 녹풍(綠風)에 해당된다. | 바에 시력이 떨어지는 야맹증도 내장의 한 종류이다. 야맹증을 작목 (日: 참새 눈)이라 하는 것은 참새가 밤이 되면 아무것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해가 진 후부터 보지 못하는 간허 작목(肝虛雀目)과 황혼 무렵부터 보지 못하는 고풍 작목(高風雀目)으로 나누어진다. | 눈동자 바깥의 흰자위나 검은자위, 눈꺼풀에 군살이 생기는 것은 외장 (外障)이다. 이 병은 폐에 열이 쌓였거나, 양경(陽經:양의 성질을 지닌 경락)이 병들어 생기며 46가지가 있다.
닭 볏이나 조갯살처럼 생긴 군살이 눈꺼풀에 생기는 것은 계관 현육(鷄 冠現肉)이다. 그리고 유행성 결막염에 해당하는 천행 적목(天行赤目), 찬 | 바람을 쐬면 눈물이 저절로 나는 충풍 누출(衝風淚出), 눈에 티가 들어가 서 생기는 미사 비목 비진(咪絲飛自飛塵)과 눈에 다래끼가 난 것도 모두 외장에 속한다.
| 눈병이 생겼을 때에는 금기사항을 잘 지켜야 한다.
음주와 성관계를 절대로 피해야 한다. 또한 감정을 절제하여 화를 내 지 말아야 한다. 닭과 돼지고기, 국수(밀가루 음식), 찹쌀, 짜거나 매운 음식, 발효 음식(요구르트와 식초), 기름진 것(튀김)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돼지고기를 꼭 먹어야 한다면 물에 푹 삶은 후 양념 없이 그냥
먹어야 한다.
눈병이 나면 마와 무를 비롯한 채소와 각종 과일들을 많이 먹으면 좋 평소 손에서 열이 나도록 비빈 후 눈과 눈꺼풀, 이마와 귀를 잘 문질 러주면 눈이 밝아지고 눈병이 잘 생기지 않는다.
약 눈병에 걸린 사람이 시선을 고정하고 한동안 사람을 똑바로 쳐다보거나(直視), 눈을 치켜뜨면 좋지 않다. 또한 눈 부위가 움푹 들어가도 좋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을 넣는 점안약(
기능을 더욱 중요시했다. 그렇다면 귀로 소리를 듣기 위해서는 어
느 약(처방)으로, 눈병에 따라
듣는 기
떤 조건이 갖추어져야 할까?
| 다은 햇빛을 받아서 빛을 낸다. 마찬가지로 귀는 기혈이 충만해야 들 으 수 있게 된다. 기혈이 부족해지면 귀가 어두워지고 눈도 침침해지다. 기가 부족해지면 결국 혈도 부족해지기 때문에 귀가 어두워진다. 그러므 로 기혈이 서로 조화되고 충만해야 귀와 눈이 총명해져서 잘 듣고 보게
아.
된다.
부
지 않다. 잘못하면 영영 못 볼 수 있고, 목숨을 잃을 수도 있기
눈병을 치료하는 약은 3가지로 나뉜다. 눈에 약물을 넣는 藥)과 눈을 씻는 세안약(洗眼藥), 복용하는 약(처방) 의리 동시에 쓰기도 한다.
눈병에 도움이 되는 약초는 소금, 정화수, 결명자, 뽕나무 가지 쓸개, 굼벵이, 소 간, 돼지 간, 토끼 간 등이다. 소금은 소독제 역하 므로 매일 아침저녁으로 소금물로 양치하고 눈을 씻는다. 이렇게 눈이 밝아지면서 눈병에 걸리지 않는다. 이때 쓰는 소금은 천일염이나 소금이 좋다. | 정화수(井華水)는 새벽에 떠온 우물물을 말하며 눈이 충혈되거나 부에 을 때 안약 삼아 눈에 넣는다. 또한 정화수로 치자나 뽕나무 껍질을 달에 마시면 빨리 낫는다. 결명자는 어두운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다. 가루 내어 공복에 미음이나 죽에 타서 먹는다. 밤눈이 어두운 야맹증에는 댑사 리씨(地同子)와 함께 가루 내어 먹어야 한다.
눈은 멀쩡하지만 볼 수 없는 청맹에는 뽕나무 가지가 좋다. 매월 정해 진 날짜(1월 2월은 8일, 3월 4월은 6일, 5월 5일, 6월 2일, 7월 7일, 8월 25 일, 9월 10월은 12일, 11월 26일, 12월 30일)에 잔가지를 태워서 재를 만 든 후 사기그릇에 넣고 따뜻한 물을 부으면 잿물이 우러난다. 이 물로 군을 씻으면 다시 볼 수 있게 된다. | 눈이 침침하면 소 간을 날로 먹거나, 초복에 준비해둔 개 쓸개를 술에 타서 먹으면 눈이 밝아진다. 또한 돼지 쓸개에 갖은양념과 식초, 영 넣어 먹어도 좋다. 토끼 간을 결명자와 섞어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중'
| 귀의 건강은 신장이 주관한다. 신장의 경락이 귀에 연결되어 있기 때 무이다. 그러므로 신장이 건강해야 모든 소리를 올바르게 들을 수 있게 된다. 만약 신장이 병들면 귀도 어두워진다. | 이제부터 6가지 귓병에 대해서 살펴보자. | 귀가 울리면서 이상한 소리를 듣는 것은 이명(耳鳴)이다. 예를 들어 매 미가 없는 계절에 매미 울음소리를 듣는다든지, 북이나 종 치는 소리를 듣는 것이다. 창호지가 바람에 나부끼는 소리, 바람에 나무가 흔들리는 소리, 휘파람 부는 소리, 기와가 부딪히는 소리가 들릴 수도 있다. 그래서 이명을 귀울이' 혹은 '귀울림' 이라고도 한다. 이명은 왜 생기는 걸까? _ | 귀는 신장의 경락을 통해 온몸의 기가 모이게 된다. 그러므로 성관계를 많이 하거나 중년에 큰 병을 앓아 신장이 약해지면 이명이 생긴다. 귀로 올라가는 기가 부족해지거나, 기를 만드는 비위가 약해져도 생길 수 있다. 뼈 속의 골수가 부족해지면 어지럼증과 함께 이명이 생긴다. 음주를 심하게 하거나, 몸속에 가래가 쌓여도 이명이 생긴다. 간혹 열이 심 해도 이상한 소리를 듣게 된다. 휘파람 소리를 듣는 것은 담(쓸개)과 삼 초가 병들어서 생긴 이명이다. | 이명은 몸이 건강해지면 저절로 없어지는 병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치 료하지 않으면 결국 듣지 못하게 되므로 빨리 치료해야 한다. 노인의 이 명은 치료되기 어렵지만 적절한 운동과 함께 꾸준한 치료를 받으면 점차
만
이(耳) 소리를 듣는 레이더
괜찮아진다.
번갈아 가며 왔다 갔다 한蔭口洞)이 다어도 심하고 괜찮을 때는. 또한 결국 외화 달인 대변이. 대장에서 중풍(中風)이 나오지만. 결국 생긴 다산 씨 치료 약으로斗斗해당하는 머릿속에는 구성된 모계(系) 가정 신 활동을 정신 활동을 쌍 단강 명당 궁이 환궁 대제국천 정궁 극진 궁 현댄 궁태 황궁 궁궐에서 정신을 빠져나간다 아플 때는 꽃잎을 맛이 아프면서 프랑스 쐬거나…. 신장이 움직인다 몸속에서 타고 어지럼은 이때에는 급훈(濕)이 다변 한 기후는오르죠레(담)나죽 한번 몸속으로 약을 먹어야열궐두통(熱厥頭痛)과아프지만바람을 쐰뇌 풍증(風證) 은 목덜미와 목욕한 통해 봐모로개를 현 후(成氣오)이다 담 훈(痰) 과고 온 훈연(熱 오)이 어지럼처럼 어지럼 이병은 거래 없으며 찬물에서 목욕하거나 누워서 찬 바람을 쐰베개를치료하 면박 새 뿌리를 권 백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