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아정신의학 - 배설장애

소아정신의학 - 배설장애

소아정신의학 - 배설장애

기능성 유뇨증은 소아기의 흔한 정신장애 중의 하나로서 5세 된 남아의 약 5%, 여아의 약 3%가 이 질환을 앓고 잇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진단기준은 최소한 만 5세는 되어야 하며, 횟수는 1주일에 최소한 2회 이상 적어도 3개월 이상은 계속되어야 병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5세 이전에는 소변을 가리지 못하더라도 병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으며, 만 5세가 지났더라도 수개월에 한 번 정도 어쩌다가 실수를 하는 경우에도 역시 병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유뇨증 밤에 자다가 소변을 싸는 경우를 나타내므로 정확하게 기술한다면 야간성유뇨증이며, 낮잠을 자다가 싸는 수도 있고(주간성 유뇨증), 야간성 유뇨증과 주간성 유뇨증이 한 아동에게서 모두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enuresis는 유뇨증 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번역이라고 생각된다. 유뇨증은 일차성 유뇨증과 이차성 유뇨증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일차성 유뇨증은 태어나서 혀냊까지 지속적으로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이며, 이차성 유뇨증은 일단 어느 시점에서 소변을 가리다가 사회환경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다시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동들을 이른다. 정의상 이차성 유뇨증은 소변을 정확하게 가렸던 기간이 적어도 1년은 경과되어야 한다. 일차성 유뇨증은 원인의 불명인 경우가 많으나, 이차성 유뇨증인 경우에는 심리적인 요인이 있는 경우가 많다. 유뇨증은 어느시대, 어느 사회, 어느 종족에서도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며, 종족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남아에서 더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만 5세 된 남아에서 약 5%, 여아에서 약 3%의 유병률을 가지며, 만 10세에서는 남아가 약 3%, 여아가 약 2%의 유병률을 나타낸다. 18세기경에서는 남자는 약 1%의 유병률을 가지나, 여자에게는 거의 없는 것츠로 보고되고 있다. 이차성 유뇨ㅗ증은 대개 5~8세경에 발병된다. 오줌을 싸는 시간에 따라서 야간성, 주간성 또는 주,야간성의 세 아형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전체 유뇨증의 약 80%가 야간성이며, 15% 정도가 주간성, 나머지 5% 정도가 주,야간성 유뇨증으로 알려져 있다. 유뇨증의 정확한 원인에 대하여는 현재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다. 추정되는 원인들은 다음과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다. 약 75%에서 가족력에 유뇨증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쌍생아에 대한 연구에서 일란성 쌍생아에서는 68%의 일치율을 보였으나, 이란성 쌍새아인 경우에는 36%의 일치율을 보여 이 질환이 유전적인 소인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필자의 연구에서도 약 53%에서 가족력에 유뇨증이 있음을 보고된 바 있다. 수면장애로서의 유뇨증은 일관된 주장은 없다. 유뇨증은 수면장애의 일종으로 보는 학자들은 유뇨증상이 일어나는 시간이 대개 수면의 전반 1/3, 즉 9시간의 수면을 취하는 아동인 경우에는 잠이 든지 약 3시간 이내에 유뇨가 일어난다는 점을 들고 있다. 또한 유뇨증이 몽유병, 잠꼬대, 수면무호흡중군, 발작성 수면 등 다른 수면장애와 동반되어 흔히 나타난다는 보고도 이 질환을 수면장애의 일종으로 보는 견해를 뒷받침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신체, 생리적인 발달의 지연이 유뇨증의 원인이라는 주장이다. 대개 남아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남아의 발달이 여아에 비하여 늦게 일어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또한 운동의 발달도 정상아동에 비하여 늦었다고 보고도 있고, 뼈연령(bone-age)이 정상아동에 비하여 어렸다는 보고도 있다. 또한 뇌파검사소견에서도 정상아동군에 비하여 서파가 많이 나타났다는 보고도 부분적으로 발달지연을 뒷받침해 주는 소견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차성 유뇨증인 경우에는 대개 심리적 내지는 환경적인 요인이 많이 작용한다. 이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소변가리기 훈련과정에서의 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유뇨증아동의 대,소변가리기 훈련과정에서 관찰되는 소견은 아동이 신체적 또는 인지적으로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요를 한다거나, 또는 부모 자신들이 무관심하여 전혀 훈련을 시키지 않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