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정신의학 - 산수장애학습
소아정신의학 - 산수학습장애 DSM-4에서는 분야야에서의 산수능력의 장애를 포함하고 있다. 첫번째는 산수와 관련된 언어기술의 장애로 수학적인 용어에 대한 이해의 부족이나 수학적 상징으로 표현하는 능력의 장애를 뜻한다. 두 번째는 지각기술의 장애로 수학적 상징에 대한 이해나 숫자 자체에 대한 이해의 부족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기본적인 산술능력의 장애를 포함하는 이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기술이 포함된다. 네 번째는 집중력의 장애를 포함하는 이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등의 기술이 포함된다. 네 번째는 집중력의 장애가 포함되는데 수학적인 그림을 정확하게 복사하는 능력의 장애를 의미한다. 과거의 발달성 게르스트만 증후군, 계산능력장애, 계산불능증, 선천성 산술장애, 발달성 산술장..
더보기
소아정신의학 - 학습장애
소아정신과의학 - 학습장애 학습장애란 개인적으로 시행된 표준화된 검사소견에서 연령, 학교교육, 그리고 지능을 고려하여 읽기, 산수학습능력 또는 쓰기의 능력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능력의 저하로 인하여 학습능력이 뚜렷이 저하되고, 또한 이러한 능력이 필요한 일상생활에 장애가 초래된다. 통계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말은 성취와 지능지수 간에 2표준편차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사기저하, 자존심, 저하, 사회적 기술의 결여 등이 동반됤구 있으며, 학습장애가 있는 소아 또는 청소년들이 학교를 중도에 그만두는 비율은 40%에 이른다. 성인이 되는 경우에도 취업 등 사회적응에 어려움이 따른다. 행동장애, 반항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 우울장애 등 다른 정신..
더보기
소아정신의학 - 소아정신질환의 분류방법들
소아정신의학 - 소아정신질환의 분류방법들 증상론적 분류는 정신장애에 대한 진단명을 붙이기 시작한 것은 고대부터 이며, Hippocarates에 의하여 조증,우울증,섬망,간질, 히스테리, 한후 정신증 등이 기술된 바 있으나 나머지 대부분의 질환에 대한 기술이 체계쩍으로 이루어진 것은 19세기 이르러서 였다. pinel, Esquirol에 의하여 환자에 대한 과학적인 기술이 이루어졌고 , Sydenham은 자세한 임상적인 기술과 결과 백치(idocy), 치매(dementia), 간질성 정신이상, 우울증 , 순환성 정신이상, 편집증, 긴장증, 파과증 등의 질환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러한 전통들이 Krapelin에 의하여 집대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Krapelin의 접근모델을 살펴본다면 정신과영역의 질병분류학의..
더보기